서울 사립대 10곳 중 8곳 적자. 사업부자 연세대 든든!(ft. 등록금 동결, 인건비만 상승)
본문 바로가기
삐닥한시선

서울 사립대 10곳 중 8곳 적자. 사업부자 연세대 든든!(ft. 등록금 동결, 인건비만 상승)

by 제주씨블루 2022. 6. 9.

서울 주요 사립대학 10곳 중 8곳이 지난해 적자를 봤다.

정부 규제로 14년째 등록금이 동결된 상황에서 인건비 임차료 등 비용만 천정부지로 올랐기 때문

 

대학이 어렵다

학령인구 급감으로 지방대학들이 존폐 기로

서울 주요 대학의 경쟁력 저하

 

적자 대학들

건국대·경희대·고려대·서강대·성균관대·연세대·이화여대·한국외국어대 등 8곳이 재무제표상 운영차액(운영수익-운영비용) 적자를 기록

 

▶ 적자 주요원인

물가 상승으로 인건비·연구비·관리비 등 운영비용이 급증

  • 고려대 교직원 보수, 복리후생비 등 운영비용이 약 140억원 증가

 

 등록금 의존도(등록금/운영수익)

서강대의 등록금 의존도는 75.7%에 달했고 경희대(69.8%), 한국외대(69.6%), 한양대(69.6%)도 70%에 육박

  • 교육계에선 일반적으로 등록금 의존도 70% 이상을 ‘위험 수준’
  • 정부 규제로 등록금이 14년째 동결돼 사립대의 재정 상황

 

‘사업 부자’ 연세대, 운영수익 1위

연세대는 작년 9108억원의 운영수익을 올려 국내 사립대 중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6350억원을 벌어들인 고려대였으며 한양대(5155억원), 성균관대(4831억원), 경희대(4458억원)

 

▶ 연세대는 든든!

연세대는 의료사업(세브란스병원), 유가공업(연세우유), 부동산 임대 등 다양한 수익 사업을 벌여 전입 및 기부금 수입만 3838억원

  • 연세대의 등록금 의존도는 46.8%로 가장 낮았다.

‘문과 위주 대학’은 더 어렵다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해 국고보조금이 이공계에 집중됐기 때문

한양대 690억원을 지원받았지만 한국외대는 384억원에 그쳤다.

 

 

대학을 걱정하는 빅 피쳐,

대학들의 재정 위기가 국가의 미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

규제 완화를 통해 그동안 대학들이 활용하지 못했던 토지나 건물 등을 수익용 재산으로 전환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하지만 반대로 읽는다면, 물가도 오르는데... 등록금도 올려야 한다! 정부여, 허락해달라는 외침!!!

정원 규제와 등록금 규제를 풀어달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