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우도 소식, 떼까마귀 습격에 골머리! 여름철엔 남양주에는 팅커벨이 무서워 벌벌 떨죠?
본문 바로가기
제주도

제주 우도 소식, 떼까마귀 습격에 골머리! 여름철엔 남양주에는 팅커벨이 무서워 벌벌 떨죠?

by 제주씨블루 2021. 12. 1.

 

제주 우도 소식,
떼까마귀 습격!!!

https://www.chosun.com/national/regional/2021/11/30/HZFFSM22MBDI7OE3IJFC7NXDIM/

매년 겨울마다 반복되는 떼까마귀 습격으로 제주도 우도 지역이 골머리
 

포획반 투입해도 효과 없네… 제주 우도, 떼까마귀 습격에 골머리

포획반 투입해도 효과 없네 제주 우도, 떼까마귀 습격에 골머리

www.chosun.com

제주시가 포획반을 투입해 퇴치에 나서고 있지만 일시적인 효과를 얻는 데 그치고 있다

 

30일 제주시 등에 따르면 

매년 11월부터 이듬 해 3월까지 적게는 수천 마리에서 많게는 수만 마리에 달하는 떼까마귀 무리가 우도 지역에 출몰

 

겨울 철새인 떼까마귀는 시베리아와 몽골 등 유라시아 북부지역에서 번식하다 겨울이 되면 제주로 내려와 겨울을 보낸다고,

 

떼까마귀는 문제!

매년 겨울 우도로 몰려드는 떼까마귀가 파종을 마친 보리와 쪽파 등을 먹어 치우면서 농작물 피해가 반복되고 있다는 점

 

이에 따라 제주시는 해마다 특별 포획반을 구성해 경찰로부터 총기를 출고 받아 우도 지역에서 떼까마귀 포획

 

섬 지역 특성상 우도는 특별 포획반이 겨울 내내 지역에 상주하지 않는 만큼 자체적으로 포획반을 구성해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총기 면허가 없어 사실상 불가능

 

또 총 소리를 틀어놓고 조류를 쫓아내는 방안도 고민했지만, 주민과 관광객들이 마을 곳곳을 다니는 점을 감안하면 이마저도 힘든 실정

 

떼까마귀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유해야생동물로 지정

떼까마귀(Corvus frugilegus, rook)는 참새목 까마귀과에 속하는 조류

 

1758년 칼 폰 린네가 명명한 종 이름 frugilegus는 "채집 생활"을 뜻하는 라틴어 낱말이다.
이 종의 크기는 밝은 햇빛에 가끔은 푸른 빛깔을 보이는 검은 깃털의 송장까마귀와 비슷(45~47 센티미터)하거나 살짝 작은 편이다.

 

우리가 생각하는 우도의 모습은,

 

 

 

제주 우도의 떼까마귀를 보니, 코로나보다 더 무섭다는!
남양주 팅커벨이 생각나네요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5/30/2020053000330.html

 

코로나보다 이게 더 무섭다, 남양주 팅커벨

코로나보다 이게 더 무섭다, 남양주 팅커벨 5월만 되면 팅커벨 닮은 곤충 나타나 밤만되면 불빛 찾아다니는 동양하루살이 강변 거주민 불만 폭증, 남양주시청 TF팀 구성 전문가 착한 곤충, 상생

www.chosun.com

 

여름만 되면, 남양주에 출몰하는 덕소 팅커벨!

 

남양주시장이 그렇게 홍보하고 대대적으로 잡는다고 해도 비웃으며 짠(?)하고 나타나는 그녀석때문에 이곳에 가고 싶지 않다고 하죠?

댓글